안녕하세요. 박정희입니다.
KS 공장심사 기준 표준화 일반에서 두번째 평가항목인 사내표준화와 품질경영 도입 확산 활동에 보면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 체제 전반에 대한 자체 평가를 1년 이내의 주기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품질경영에 적용하며, 공정 및 품질 개선 등에 반영하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자체 평가가 무엇이고, 어떻게 실시하는지 한 번 살펴볼까요? 자체 평가란? KS에서 요구하는 품질 경영 시스템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조직 스스로가 평가하는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조사를 말합니다. 이를 ISO 9001 품질경영 시스템에서는 내부심사라고 하는데, 같은 의미입니다. 따라서 자체평가 또는 내부심사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마는 ISO 9001 인증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내부심사라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자체평가 즉 내부심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심사일자, 심사원, 심사 세부 스케쥴 등이 포함된 내부 심사 계획을 수립하여 승인을 득한 후 심사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내부 심사를 실시합니다. 그리고 심사 결과 도출된 부적합 사항에 대해서는 피심사 부서장 책임하에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가 이루어지고 그 효과성이 검증되어야 합니다. 예 끝으로 자체평가 즉 내부심사와 관련해서 기업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할 내용과 KS 심사시 심사원에게 제시할 물증자료 즉 관련표준과 기록물이 무엇이 있는지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점 수행내요을 보면 심사주기, 심사 계획 수립, 심사원 선임, 심사 실시, 결과보고, 시정조치 등 자체 평가 절차 수립과 내부심사 실시 계획 수립내부심사 실시에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심사팀 편성 , 심사 점검표 준비, 심사 실시 및 결과 보고, 내부 심사시 부적합 사항이 발견된 경우에는 시정 조치 실시 및 검증이 포함됩니다. 제시 물증 자료로는 내부 심사 규정, 내부 심사 계획서, 심사 체크리스트, 부적합 시정조치 보고서, 내부심사 결과 보고서등 내부심사 실적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실제 사례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내부심사 계획에 관계되는 부분입니다. 내부심사 계획에 대해서는 내부심사 일시, 심사 대상 부서, 심사는 누가 할 것인지, 심사 시간 및 심사 대상부서는 어디라는 게 명확하게 기술이 되어 결제를 맡아야 합니다. 그리고 심사 시작 전에 반드시 심사 체크리스트가 준비가 되야 합니다. 심사 체크 리스트는 KS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포함해서 회사에서 요구하는 품질경영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내부 심사 전에 심사원이 사전에 준비하는 자료입니다. 두번째는 내부심사를 수행하고 난 다음 그 결과를 보고하는 자료입니다. 보고도 마찬가지로 심사일시, 심사원이 누가있는지, 중요한건 심사 대상별로 부적합 건수가 몇 건이 나왔다는게 기술이 되어야 겠죠. 그리고 첨부물로 시정 및 예방조치 요구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시정 및 예방조치 요구서에는 피심사 부서의 심사원이 지적한 사항이 정리가 되어야 합니다. 이 지적사항에 대해서 피심사 부서에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 어떻게 시정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그대로 수행하는 내용이 기술이 되어야 되겠죠. |